JINetic CODE

  • 홈
  • 태그

randomised experiments 1

[인과추론] 인과를 증명하기 위해 RCT가 중요한 이유

1. 연관 ≠ 인과두 변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고 해서, 꼭 원인-결과 관계가 있는 건 아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판매량과 익사 사고 수가 함께 늘어난다고 해서, 아이스크림이 익사의 원인이라고 말하긴 어렵다. 여름이라는 공통 원인(Confounder) 때문이다. 2. 인과란 무엇인가?우리가 알고 싶은 건 진짜 원인, 즉 "T를 바꿨을 때 Y가 바뀌는가?"에 대한 답이다.이를 인과 효과(Causal Effect)라고 부른다.인과(Causal Effect) = ATT (Average Treatment effect on the Treated) 즉, 처치를 받은 집단에 대해 그 처치가 없었더라면 나왔을 결과와 실제 결과의 차이를 말한다.하지만 현실에서는 이런 비교가 어렵다.왜냐면… ..

인과추론 2025.04.23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JINetic CODE

Jin_Omics의 연구자 성장기 + 대학원 이야기.

  • 분류 전체보기 (60)
    • 대학원이야기 (9)
      • 연구의 세계 (5)
    • 통계 (5)
    • 인과추론 (4)
    • R (7)
    • Python (3)
    • AI&ML (2)
    • 유전학 (14)
    • 💡Lightbulb (10)

Tag

인구집단층화, 삼성융합의과학원, 인과추론, 교란변수, 코랩plotly, ukb, sahist, spuriousassociation, foundationmodel, 대학원컨택, 디지털헬스학과, 드노보변이, 생식세포변이, gwas, 무작위실험, R, denovovariants, uk biobank, 제2종오류, 시스템리뷰, 제1종오류, causalinference, denovo변이,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saihst, ukbiobank, 스코핑리뷰, 논문 종류, randomised experiments,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10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