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종오류 2

[통계] 제 1종 오류(α) vs 제 2종 오류(β)

제 1종 오류와 제 2종 오류가 헷갈려서 다시 정리해본다. 제1종 오류(α) vs 제2종 오류(β)구분정의제1종 오류 (Type I Error, α) (False Positive)귀무가설이 참인데 잘못 기각하는 오류제2종 오류 (Type II Error, β) (False Negative) 귀무가설이 거짓인데 잘못 채택하는 오류 제 1종 오류 vs 제 2종 오류, 많이 나오는 예제로 이해하자[예제 1] 법원 판결실제상황결과 오류 여부결백한 사람 (H₀ 참)유죄 선고 (H₀ 기각)제1종 오류 (α) → 억울한 사람을 잡음유죄인 범인 (H₀ 거짓)무죄 판결 (H₀ 채택)제2종 오류 (β) → 범인을 놓침 🔥 헷갈릴때는, 이렇게 외우자!제1종 오류(α): "나 무죄인데, 유죄 선고 받아서 마음이 아파( α ..

통계 2025.02.27

통계적 가설 검정(Statistical Inferences)

1. 통계적 추론:"모든 데이터를 볼 수 없으니까, 일부만 보고 전체를 추측하자!" 통계적 추론에는 3가지 방법:방법설명예시점 추정정확한 수치 추정평균이 딱 50일 거야구간 추정범위를 추정평균이 48~52 사이일 거야가설 검정가설을 세우고 검증정말 평균이 50일까? 이 중, 가설 검정에 대해 알아보자!2. 가설검정(Hypothesis Testing): 샘플 데이터를 이용해, 모집단에 대한 가설이 맞는지 틀린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과정! 어떤 주장이 맞는지 틀린지 통계적으로 따져보는 과정💡 가설(hypothesis) = 아직 증명되지 않은 주장수학적 가설 → 참/거짓으로 딱 떨어지게 판별 가능통계적 가설 → 100% 확신은 못 하고, '확률적으로 유의미한가'를 보는 것 예를들어,  A라는 피자집에서,"..

통계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