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ome을 분석할 때,
Sequencing, Microarray, Genotyping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제 입문한 사람(=나)은 이 용어들이 굉장히 헷갈린다.
전부 다른 기술이고
분석 범위, 해상도, 데이터 양, 비용이 모두 다르다.
이 세 용어에 대해 정리해본다.
1. 용어 정리
용어 | 정의 | 비교 |
Sequencing | DNA의 모든 염기 서열을 읽는 것 | "문장 하나하나를 다 복사하는 느낌" |
Microarray | 미리 정해진 DNA 조각에 대해 하이브리다이제이션을 통해 신호를 측정하는 것 | "어떤 단어가 있는지만 확인하는 느낌" |
Genotyping | 미리 선정한 특정 변이(SNP 등)만 검사하는 것 | "특정 단어만 체크하는 느낌" |
우리의 DNA를 한 권의 책이라고 가정했을때
- sequencing은 모든 페이지를 다 읽는 것이고
- microarray는 각 단원의 첫 페이지, 혹은 연습문제만 확인(특정 주요 부분만)하는 것
- genotyping은 특정 단어가 들어간 페이지가 있는지만 확인하는 것
2. 기술
2-1. Sequencing (시퀀싱)
- 전체 DNA 서열 읽음
- 종류
- WGS
- WES
- Targeted Sequencing
- 데이터 양 많음, 비용 가장 비쌈
- 가장 높은 해상도
2-2. Microarray (마이크로어레이)
- 정해진 변이에 대해서만 결과 얻음
- 미리 준비된 DNA probes에 샘플을 hybridize해서 신호 측정 --?
- Genomd-wide SNP array
- Sequencing보다 빠르고 싸지만, 해상도가 낮음
2-3. Genotyping( 제노타이핑)
- 특정산 소수의 변이만 직접 검사
- 예: 23andMe(문닫음), Ancestry DNA 검사 -- 이거 읽는 사람이 뭔지 모를 것 같음
- 데이터 양이 가장 적고, 비용이 매~우 쌈
3. 연구에서는?
- 탐색적 연구: Sequencing(WGS, WES)
- 대규모 cohort 변이 스크리닝: Microarray
- 특정 변이만 빠르게 검사: Genotyping
유전체 분석 기술: Sequencing, Microarray, Genotyping은 전혀 다른 기술들이다.
세 기술의 차이를 이해하고, 혼동하지 말자.
'유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Omics: Genomics, Transcriptomics, Proteomics (1) | 2025.05.01 |
---|---|
Allele, Locus (+Loci), Variant, SNP (0) | 2025.04.30 |
Gene, DNA, Chromosome, Chromatin (0) | 2025.04.29 |
Genetics vs Genomics (0) | 2025.04.28 |
UK Biobank 분석의 주요 한계와 주의 사항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