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학을 공부하다 보면 종종 표본 분산(sample variance) 공식에서 "n-1"로 나누는 것을 보게 된다. 이때, 왜 n이 아니라 n-1로 나누는 걸까? 이건 '자유도'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런데, 대체 이 자유도가 무엇이며 왜 하필 숫자 1을 빼주는 걸까? 자유도에 대해 알아보자.1. 자유도의 정의자유도(degree of freedom, d.f.)란 독립적으로 값을 선택할 수 있는 개수를 의미한다. 즉, 주어진 데이터에서 제약 없이 자유롭게 변할 수 있는 값의 수이다.수식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자유도 = 총관측치수(n) - 제약조건의 갯수 자유도가 중요한 이유는 통계적 검정에서 신뢰도를 결정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특히 표본 분산과 t-분포에서 핵심적으로 작용한다.2.자유도의 직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