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60

[R 기초] R에서 말하는 벡터(Vector)란?

R에서 벡터(Vector)는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구조로, 하나의 데이터 유형을 가진 값들의 집합이다.쉽게 말해, 벡터는 1차원 배열에 해당하며, 같은 데이터 유형만 포함하는 값들의 모임이다.벡터의 특징1. 1차원 배열벡터는 1차원 데이터 구조로, 여러 값들이 한 줄로 나열된 형태.예를 들어, 숫자들의 리스트를 벡터로 저장할 수 있다. 2. 하나의 데이터 유형만 포함벡터는 같은 타입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다.예를 들어, 숫자형 벡터, 문자형 벡터, 논리형 벡터가 있다.숫자형 벡터: 숫자만 포함문자형 벡터: 문자만 포함논리형 벡터: TRUE/FALSE만 포함만약, 숫자와 문자가 섞이면 모든 값이 문자형으로 바뀐다.벡터 생성 방법1. c() 함수 사용벡터 생성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c() 함수를 사용하는..

R 2025.02.21

[R 기초] R에서 자료 입력 및 저장하기

R에서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CSV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자.(CSV 불러오는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1.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기R에서는 벡터(Vector)를 활용해 데이터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 c() : 여러 개의 값을 벡터로 입력할 때 사용✔ rep(k, n) : 특정 값을 n번 반복✔ data.frame() : 여러 변수를 모아서 데이터 프레임 생성 💡 Vector란?R의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구조로, 하나의 데이터 유형을 가진 값들의 집합벡터는 1차원 배열에 해당하며, 동일한 타입의 데이터만 포함할 수 있음💡 데이터 프레임이란?엑셀(Excel) 표처럼 행과 열로 이루어진 데이터 구조각 열(컬럼)마다 다른 데이터 유형을 포함 가능R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 형태!# 개..

R 2025.02.20

[R 기초] R에서 작업 경로 설정하기

R에서 데이터를 불러오려면, 작업 경로(Working Directory)를 정확히 설정해야 한다.작업 경로(Working Directory)란?작업 경로는 파일을 저장하고 불러오는 기준이 되는 폴더를 말한다.R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불러올 때, 이 경로를 정확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1. R에서 작업 경로 설정하기방법 1: 명령어로 설정하기 (R, Rstudio 공통)# 작업 경로 설정setwd("C:/Users/내폴더") # 현재 작업 경로 확인getwd() 🔥 TIP: Windows 에서 현재 경로를 모른다면? 파일 탐색기에서 작업 폴더를 열어 상단 주소창을 클릭하면 파일 경로가 텍스트로 변한다.복사 + 붙여넣기 하면 쉽게 현재 경로를 따올 수 있다. 주의사항:(1) 백슬래시 \ 대신 슬래시 ..

R 2025.02.19

[통계] R vs Python

R과 Python 비교: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R과 Python은 둘 다 데이터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언어지만, 각각 강점이 다르다.  R: 통계 분석과 시각화에 강한 언어✔ 강점통계 분석과 고급 데이터 시각화에 최적화ggplot2, lattice 같은 고급 시각화 패키지 제공다양한 통계 모델과 분석 기법이 내장됨✔ 추천 사용자연구 중심 분야(사회과학, 생물학, 경제학 등)데이터 시각화를 세련되게 만들고 싶은 사용자Python: 머신러닝과 빅데이터 처리에 강한 언어✔ 강점머신러닝 및 딥러닝 생태계가 강력 (TensorFlow, PyTorch 등)데이터 전처리, 웹 스크래핑, 자동화 작업 가능데이터 엔지니어링과 빅데이터 처리에 유용 (Pandas, NumPy, Dask 등)✔ 추천 사용자머신러닝, 딥러닝을..

R 2025.02.18

[통계] R 설치하기

R이란?R은 통계 분석과 데이터 과학에 특화된 프로그래밍 언어이자 소프트웨어 환경이다.다양한 통계 기법, 머신러닝, 데이터 시각화 등을 지원하는 패키지가 풍부해서 연구자, 데이터 과학자, 비즈니스 애널리스트들이 널리 사용하고 있다. 📌 R의 특징무료이면서 강력한 오픈소스 통계 분석 도구데이터 분석, 시각화, 머신러닝 등을 위한 다양한 패키지 제공Python과 함께 가장 인기 있는 데이터 분석 언어 중 하나🖥️ R 설치 방법 (Step by Step)1. R 다운로드R을 설치하려면 공식 사이트인 CRAN (Comprehensive R Archive Network)에 방문해야 한다.The Comprehensive R Archive Network여기서 "Download R" 버튼을 클릭하면 운영체제별 다운..

R 2025.02.17

[통계] 자유도(degree of freedom, d.f.)

통계학을 공부하다 보면 종종 표본 분산(sample variance) 공식에서 "n-1"로 나누는 것을 보게 된다. 이때, 왜 n이 아니라 n-1로 나누는 걸까? 이건 '자유도'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런데, 대체 이 자유도가 무엇이며 왜 하필 숫자 1을 빼주는 걸까? 자유도에 대해 알아보자.1. 자유도의 정의자유도(degree of freedom, d.f.)란 독립적으로 값을 선택할 수 있는 개수를 의미한다. 즉, 주어진 데이터에서 제약 없이 자유롭게 변할 수 있는 값의 수이다.수식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자유도 = 총관측치수(n) - 제약조건의 갯수 자유도가 중요한 이유는 통계적 검정에서 신뢰도를 결정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특히 표본 분산과 t-분포에서 핵심적으로 작용한다.2.자유도의 직관적..

통계 2025.02.17

대학원 진학과 🌟컨택🌟의 중요성

대학원에 진학하겠다고 마음을 먹은 후, 저는 입시 준비에 모든 에너지를 쏟아부었습니다.정보를 찾던 중, '컨택'이라는 말이 자주 접하게 되었습니다. "응? '컨택'이 뭐지...?"  컨택(Contact)이란,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관심 있는 연구실의 교수님께 이메일을 보내 연구실 참여 가능성을 문의하는 과정입니다.연구 관심 분야가 연구실과 맞는지 확인하고,연구실에서 요구하는 역량과 연구 방식이 나에게 적합한지('fit' 확인)를 검토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연구실에 따라 컨택 후 인턴십 과정을 거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연구실의 기대와 지원자의 연구 준비도가 부합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인턴십 없이 연구실 합류가 결정되는 경우도 있지만, 사전 경험이 있다면 입학 후 연구 적응에 도움이..

대학원이야기 2025.02.16

2025년 전기 삼성융합의과학원(SAHIST) 디지털헬스학과 면접 후기

2025년 전기 모집에서, 디지털헬스학과의 면접은 10월 25일 금요일에 이루어졌습니다.  참고로 저는 지도교수님/연구실 컨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일제에 지원하고 (다행히) 합격했습니다. 아마 대학원에 저처럼 입학하시는 분들이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만, (제가 무지했어요)이 글을 읽고 계신 전일제 지원을 고려하고 계신 분들은 꼭 지도교수님 컨택을 완료하고 지원하세요^^;저는 다행히 대학원 입시에는 합격했지만, 합격 후에 연구실 구하느라 정말 힘들었습니다.  1. 진행 과정대기실에서 면접 순서 대기(신분증 확인 절차 있음)▼면접 순서 되면 리딩실로 이동(영어 지문 선택 후  읽기 - 8분 시간제한)▼ 면접실로 이동하여 면접 2. 실제 면접시 받은 질문(1) 간단하게 자기소개 하기- 자기 소개를 거..

대학원이야기 2025.02.15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학업계획서, 나는 이렇게 썼다!

2025년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SAHIST) 디지털헬스학과 입학을 앞두고 있습니다. 대학원 입학 원서를 작성하면서, 학업계획서 작성 단계에서 많은 두통을 앓게 됩니다. (저만 그런 거 아니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작성한 학업계획서를 공개하진 못하지만 😂그래도 제가 학업계획서를 어떻게 작성했는지 경험을 나눠볼까 합니다. 본문에 들어가기 앞서, 당연히 제 작성방법이 정답일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으실 거라 믿습니다.아~ 이 사람은 이렇게 썼구나 하고 귀엽게 봐주세요. 🥹1. 학업계획서 양식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모집요강에 들어가면 학업계획서 서식이 들어있습니다."아~ 이렇게 생겼구나" 하고 참고하시면 됩니다. 실질적인 학업 계획서 작성은 지원서를 접수할 때,내용을 작성 후  save 하고 ▶ 온..

대학원이야기 2025.02.14

2025년 전기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과학원(SAHIST) 디지털헬스학과 진학 준비하기

성균관대학교 삼성융합의학원(SAIHST) 디지털헬스학과에 진학 예정입니다. 티스토리 첫 포스팅으로 대학원 석사과정 지원에서부터 합격까지를 이야기를 풀어보려고 합니다. 제가 진학을 결심하고 입학을 준비하다 보니, 정보가 많다고 느끼지 못했어요.시간이 더 지나면 저의 기억에서도 많이 잊혀질 것 같아서, 지금이라도!앞으로 지원을 고려하고 계시거나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포스팅을 작성해봅니다. 1. 2025년 전기 일반대학원 일반전형 모집 일정https://gradschool.skku.edu/grad/mojip/regul.htm?bbsid=grad_dataroom&ctg_cd=REGUL&page=1&skey=&keyword=&mode=view&bltn_seq=57715원서접수202..

대학원이야기 2025.02.13